순모임자료

  • 홈 >
  • 자료실 >
  • 순모임자료
순모임자료
2024년 9월 24일 (9월 다섯째주) 순모임 자료 운영자 2024-09-25
  • 추천 0
  • 댓글 0
  • 조회 91

http://godeok.onmam.com/bbs/bbsView/117/6441356

[성경본문] 열왕기하13:1-13절 개역개정

1. 유다의 왕 아하시야의 아들 요아스의 제이십삼 년에 예후의 아들 여호아하스가 사마리아에서 이스라엘 왕이 되어 십칠 년간 다스리며

2.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이스라엘에게 범죄하게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를 따라가고 거기서 떠나지 아니하였으므로

3.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노하사 늘 아람 왕 하사엘의 손과 그의 아들 벤하닷의 손에 넘기셨더니

4. 아람 왕이 이스라엘을 학대하므로 여호아하스가 여호와께 간구하매 여호와께서 들으셨으니 이는 그들이 학대받음을 보셨음이라

5. 여호와께서 이에 구원자를 이스라엘에게 주시매 이스라엘 자손이 아람 사람의 손에서 벗어나 전과 같이 자기 장막에 거하였으나

6. 그들이 이스라엘에게 범죄하게 한 여로보암 집의 죄에서 떠나지 아니하고 그 안에서 따라 행하며 또 사마리아에 아세라 목상을 그냥 두었더라

7. 아람 왕이 여호아하스의 백성을 멸절하여 타작 마당의 티끌 같이 되게 하고 마병 오십 명과 병거 열 대와 보병 만 명 외에는 여호아하스에게 남겨 두지 아니하였더라

8. 여호아하스의 남은 사적과 행한 모든 일과 그의 업적은 이스라엘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9. 여호아하스가 그의 조상들과 함께 자매 사마리아에 장사되고 그 아들 요아스가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10. 유다의 왕 요아스의 제삼십칠 년에 여호아하스의 아들 요아스가 사마리아에서 이스라엘 왕이 되어 십육 년간 다스리며

11.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이스라엘에게 범죄하게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모든 죄에서 떠나지 아니하고 그 가운데 행하였더라

12. 요아스의 남은 사적과 행한 모든 일과 유다 왕 아마샤와 싸운 그의 업적은 이스라엘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13. 요아스가 그의 조상들과 함께 자매 이스라엘 왕들과 함께 사마리아에 장사되고 여로보암이 그 자리에 앉으니라

제공: 대한성서공회

<9월 다섯째 주 그룹큐티나눔>

 

*본문: 열왕기하 13:1-13

*제목: 신앙의 회복이 문제 해결의 열쇠다

 

마음 열고, 찬양과 나눔

온 세상이 캄캄하여서(찬송 84) 지난 한 주, 서로의 근황을 나눠봅시다.

 

(들어가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드러난 표층보다 드러나지 않은 심층을 들여다보아야 합니다. 근본적인 문제를 고치지 못한 해결책은 오래가지 못하는 법입니다. 악한 자라 할지라도 궁지에 몰리면 하나님께 매달릴 수 있습니다. 때로 하나님은 악인의 간구를 들으시고 긍휼을 베푸십니다. 그러나 잠시 호전된 상황은 온전한 회복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죄가 제거되어야 문제가 바로잡히고, 신앙이 회복되어야 삶이 회복됩니다.

 

마음 다해, 말씀과 나눔

1. 예후의 아들 여호아하스가 왕이 되어 이스라엘을 다스립니다(1-4).

1) 여호아하스는 어떤 왕이었습니까(2)?

*정답: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이스라엘에게 범죄하게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를 따라가고 거기서 떠나지 않았다.

(해설) 북이스라엘의 초대 왕이었던 여로보암은 남유다에 있는 예루살렘 성전으로 인해 백성들이 다시 다윗 왕가로 돌아갈 것을 두려워하였다. 결국 그는 북이스라엘 지역인 단과 벧엘에 거짓 성전과 송아지 우상을 세워놓고 의도적으로 백성들을 우상숭배에 빠뜨렸다. 이후 북이스라엘은 단 한 번도 이 여로보암의 죄에서 빠져나오지 못했는데, 이는 북이스라엘의 11대 왕인 여호아하스 역시 마찬가지였다.

 

2)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죄악을 어떻게 징계하십니까(3)?

*정답: 계속해서 이스라엘을 아람 왕 하사엘의 손과 그의 아들 벤하닷의 손에 넘기셨다.

(해설) 가나안 땅은 단순한 영토가 아니었다. 그곳은 하나님의 언약으로 주어진 땅이며, 하나님의 언약을 상징하는 땅이었다. 그러므로 이스라엘이 언약 안에 있을 때, 그 땅에는 평화와 번영이 있을 것이며(6:3), 이스라엘은 열방을 향한 제사장 나라가 될 것이다(19:5-6). 그러나 그들이 언약을 저버리면, 평화는 사라지고, 그들의 이름은 오히려 열방에서 부끄러워질 것이다. 이처럼 언약 백성이 언약을 저버리면,하나님의 보호와 은혜는 사라지고, 오직 남는 것은 힘이 지배하는 세상이 낳는 전쟁의 고통뿐이다.

 

3) 하나님이 아람의 학대로부터 이스라엘을 건지신 이유는 무엇입니까(4)?

*정답: 여호아하스가 간구하였기 때문이다.

(해설) 하나님이 징계하시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미움이 아니라, 사랑이다. 하나님은 징계를 통해 이스라엘이 죄에서 돌이켜 하나님 앞으로 나아오기를 원하셨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이스라엘 왕이 돌이켜 간구하자, 기다렸다는 듯이 이스라엘을 구원하신다. 이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회개를 기다리고 계시며, 우리의 간구를 기다리고 계신다. 우리가 얻지 못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구하지 않기 때문이다(4:2).

 

 

<나눔 1> 비록 악한 자라도 돌이켜 하나님 앞에 나아와 간구하면 하나님은 들으십니다. 기도는 문제 해결의 열쇠요, 삶의 능력입니다. 오늘 나의 기도 생활은 어떠한지 한 문장으로 정리해보고, 내가 노력해야 할 점들을 나눠봅시다.

 

2. 여전히 죄악을 버리지 못한 이스라엘이 멸절당합니다(5-13).

1) 이스라엘 백성이 거의 멸절된 이유는 무엇입니까(5-7)?

*정답: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아람의 위협에서 벗어나게 하셨으나, 이스라엘이 죄에서 떠나지 않고 우상을 섬겼기 때문이다.

(해설) 이스라엘은 하나님께 나아갔으나, 죄를 버리지는 않았다. 문제가 생긴 긴박한 상황에서 하나님을 찾기는 하였으나, 삶의 변화는 동반되지 않은 것이다. 그 결국은 파멸이다. 오늘 성도들 가운데는 신앙의 삶을 가꾸지 않으면서, 위급할 때만 하나님을 찾으며, 그것을 신앙의 전부로 삼는 이들이 있다. 하나님은 이런 이들도 오래 참으시고 긍휼을 베푸신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자신의 죄를 버리지 않는 자는 결코 하나님의 징계와 심판을 피할 수 없다.

 

2) 여호아하스의 아들 요아스(여호아스)는 어떤 왕이었습니까(11)?

*정답: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여로보암의 모든 죄에서 떠나지 아니하고 그 가운데서 행했다.

(해설) 자신의 권력 유지를 위해 백성들을 우상숭배에 빠뜨렸던 북이스라엘의 초대 왕 여로보암의 죄는 11대 왕 여호아하스를 넘어 12대 왕 요아스에게까지 이르렀다. 죄가 한번 자리를 잡으면 그 뿌리를 뽑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를 보게 된다. 그러므로 성도는 죄가 삶에 들어오지 않도록 저항하고, 죄가 들어올지라도 결코 뿌리내리지 못하도록 격렬하게 싸워야 한다(12:4-5). 죄의 영향력을 간과하면, 죄는 누룩과 같이 순식간에 우리 삶을 잠식할 것이다(고전 5:6).

 

<나눔 2> 잠시 돌이켰으나, 여전히 죄악에서 벗어나지는 못한 이스라엘은 결국 커다란 고통 속에 빠집니다. 우리가 죄의 위험을 알면서도 쉽게 죄를 벗어버리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죄를 끊어내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나눠봅시다.(유혹을 끊어낼 수 있는 내적 강인함이 없기 때문)

 

<나눔 3> 북이스라엘의 죄악은 초대 왕인 여로보암으로부터 시작하여 그 이후의 모든 왕과 백성에게로 퍼졌습니다. 죄의 영향력은 이처럼 강력하여 시대를 관통하고 사회 전반을 잠식합니다. 오늘 한국 사회에 그늘을 드리우고 있는 죄악은 어떤 것인지 생각해보고, 그 속에서 우리 역할은 무엇인지 이야기해봅시다.

 

마음 모아, 함께 기도

_ 기도를 쉬지 않는 믿음을 주소서.

공동체 _ 사회악에 눈감지 않고 소금과 빛의 사명을 감당하는 공동체가 되게 하소서.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2024년 10월 1일 (10월 첫째주) 순모임 자료 사진 운영자 2024.10.02 1 87
다음글 2024년 9월 17일 (9월 넷째주) 순모임 자료 사진 성우경 2024.09.19 0 86